안녕하세요
유이스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환경교육사가 되고싶으신가요?
저는 학생중심의적 수업을 장기적으로 할 기회가 많은 환경교육사가 되고싶습니다.
그런데
학생중심적 수업이 어떤 내용인지 아시나요?
<활동 주체에 의한 교육 방법 분류>
1. 교사 중심의 교육 방법
가장 많이 알려진 교육 방법으로써,
학교에 여러명의 학생들을 한번에 (단기간에) 가르칠 때 좋다.
사실적 정보나 이론 또는 개념을 알리거나 설명을 할때 사용되는 학습방법 입니다.
2. 학생중심적 수업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를 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입니다.
주로 아래와 같이 4가지의 학습 방법이 학교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토의법, 프로젝트, 조사학습, 체험학습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 25가지>
그럼 환경교육을 할 때에는 다양한 체험과 수업 방법으로 진행하게 하여
아이들의 환경에 대한 지식/ 감수성/ 경험 등을 공감시키고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제가 생각한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과 최돈형님께서 제시하신 교수학습 방법을 열거해 보려고 합니다.
1. 경험 학습
2. 이야기 학습
3. 야외 학습
4. 가치 학습
5. 쟁점 분석 학습
6. 탐구 학습
7. 시뮬레이션 게임 학습
8. 지역공동체 문제 학습
9. 토의토론 학습
10. 드라마/ 영화/ 연극 학습
11. 사회와 학교 연계 환경교육 학습
12. 봉사학습
13. 쟁점 조사 학습
14. 프로젝트 기반 학습
15. 공동체 기반 핛ㅂ
16. 시민과학
17. 맵핑
18. 캠페인
19. 교구 (환경교육 게임) 학습
20. 창작 만들기 학습
21. 환경 체육 학습
22. 학습 공동체 학습
23. 협력 학습
24. 시연 수업
25. 창작물 만들기 학습 (랩, 춤, 작품 등)
환경교육은 정말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 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이 많아
질리지 않고, 끊임없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해서 수업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저는 교구를 이용한 2차시 환경교육이 많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정말 아쉬운 것은
장기 프로젝트가 아닌...
단기 수업으로 끝나서, 아이들의 변화를 눈으로 알기 아주 어렵다는 점입니다.
여러분들은 여러분들이 가진 장점으로 환경교육을 진행하고 계신다고 믿습니다~
어떤 더욱 재미난 환경교육을 진행하면 좋을지 더욱 고민하고 실행해보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