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뉴스

탄소배출권&탄소국경세&탄소세 완벽 정리_알면 2022년 투자 대박!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이스입니다!!

 

저는 일본에서 8년 살다가 2022년 1월에 귀국을 한 20대 입니다!

그런데 제가 한국에 없는동안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과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아주 높아져 깜짝 놀랬습니다!

이는, 전 세계 경제와 정책이 환경을 지키는 제도를 도입시키고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주식시장에서 환경관련 ETF 등 환경과 SDGs 경영에 힘쓰고있는 기업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테슬라, 구글 등을 예로들 수 있겠는데요~

오늘은 2022년 가장 Hot한 키워드 라고 생각되는 탄소발자국,탄소배출권, 탄소국경세, 탄소세에 대해선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참고한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Youtube로 정리한 영상입니다. 

https://youtu.be/SangLE4ex1U

탄소발자국

사람의 활동이나 상품을 생산, 소비, 유통, 폐기하는 전 과정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슬 배출량을 이산화탄소(CO2)의 총량으로 계산한 것

>> 탄소발자국 마크: 탄소발자국(제품이 생산 소비하는데 배출되어진 이산화탄소의 양)을 표시하거나, 동종대비 탄소배출량이 낮은 제품을 제품에 라벨을 붙여주면서 정부가 지원해주는 제도.

 

탄소배출권

한국: 정부가 탄소 전체 배출 허용 총량(캡)을 설정하고 기업이 그 범위안에서 배출권을 부여받는 식.

         즉, 기업은 정부에서 할당받은 배출권의 범위내에서 기업운영을 하되, 남거나 모자라는 배출은 시장에서 사고 팔 수 있습니다.

         탄소배출권은 탄소배출의 커트라인을 정하여, 탄소 배출의 감축효과가 보장되며 기업끼리 탄소배출권을 돈으로 사고 파는 것도 가능

         하여, 제도가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탄소세

일본: 정부에서 정한 세율에 의거하여 탄수배출량에 따른 세금을 지불하는 방식.

         특징으로써, 제도운영이 단순하고 탄소가격도 세율에 근거하여 일정하게 관리되는 특징이 있음.

         EU일부 국가 & 스위스는 탄소세와 탄소배출권 두제도를 모두 실행하고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도, EU국가들과 같이 탄소배출권에 

         탄소세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탄소국경세

탄소배출권과 탄소세는 한 국가 안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이지만, 탄소국경세는 역외 국가제품에 적용하는 세금. 수입품 가운데 EU보다 탄소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에 적용하는 부과하는 관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탄소국경세는 2021년 기후변화 이슈 중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면서 ESG투자에 더욱 불을 붙였습니다. 


이러한 환경 관련 용어를 앎으로 인해서 

우리의 환경을 지킬 뿐만이 아니라 통장도 지킬 수 있습니다. 

세계의 흐름을 이해하시고 우리 같이 에코한 정보를 얻고 그린한 삶을 살아보아용 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