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이스입니다!!
저는 일본에서 8년 살다가 2022년 1월에 귀국을 한 20대 입니다!
그런데 제가 한국에 없는동안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과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아주 높아져 깜짝 놀랬습니다!
이는, 전 세계 경제와 정책이 환경을 지키는 제도를 도입시키고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주식시장에서 환경관련 ETF 등 환경과 SDGs 경영에 힘쓰고있는 기업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테슬라, 구글 등을 예로들 수 있겠는데요~
오늘은 2022년 가장 Hot한 키워드 라고 생각되는 탄소발자국,탄소배출권, 탄소국경세, 탄소세에 대해선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참고한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Youtube로 정리한 영상입니다.
탄소발자국
사람의 활동이나 상품을 생산, 소비, 유통, 폐기하는 전 과정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슬 배출량을 이산화탄소(CO2)의 총량으로 계산한 것
>> 탄소발자국 마크: 탄소발자국(제품이 생산 소비하는데 배출되어진 이산화탄소의 양)을 표시하거나, 동종대비 탄소배출량이 낮은 제품을 제품에 라벨을 붙여주면서 정부가 지원해주는 제도.
탄소배출권
한국: 정부가 탄소 전체 배출 허용 총량(캡)을 설정하고 기업이 그 범위안에서 배출권을 부여받는 식.
즉, 기업은 정부에서 할당받은 배출권의 범위내에서 기업운영을 하되, 남거나 모자라는 배출은 시장에서 사고 팔 수 있습니다.
탄소배출권은 탄소배출의 커트라인을 정하여, 탄소 배출의 감축효과가 보장되며 기업끼리 탄소배출권을 돈으로 사고 파는 것도 가능
하여, 제도가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탄소세
일본: 정부에서 정한 세율에 의거하여 탄수배출량에 따른 세금을 지불하는 방식.
특징으로써, 제도운영이 단순하고 탄소가격도 세율에 근거하여 일정하게 관리되는 특징이 있음.
EU일부 국가 & 스위스는 탄소세와 탄소배출권 두제도를 모두 실행하고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도, EU국가들과 같이 탄소배출권에
탄소세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탄소국경세
탄소배출권과 탄소세는 한 국가 안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이지만, 탄소국경세는 역외 국가제품에 적용하는 세금. 수입품 가운데 EU보다 탄소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에 적용하는 부과하는 관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탄소국경세는 2021년 기후변화 이슈 중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면서 ESG투자에 더욱 불을 붙였습니다.
이러한 환경 관련 용어를 앎으로 인해서
우리의 환경을 지킬 뿐만이 아니라 통장도 지킬 수 있습니다.
세계의 흐름을 이해하시고 우리 같이 에코한 정보를 얻고 그린한 삶을 살아보아용 ㅎㅎ

'환경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플라스틱이 문제야? _ 미세플라스틱은 진짜 우리 몸에 있는거야? (0) | 2022.03.02 |
---|---|
대구 전기차 충전소_충전시간& 보조금 (보조금이 줄어드는데 어떻하지..) (0) | 2022.02.13 |
코로나19 보다 심각한 마스크쓰레기 문제_썩는데 450년이 걸리는 마스크? 이러다 모두 죽습니다... (0) | 2022.02.10 |
심상정 후보"그린노믹스" 일자리 150만개 창출?_어떤 일자리가 있나? (0) | 2022.02.07 |
환경 이야기에 대한 블로그 (0) | 202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