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교육준비과정

[환경교육사]탄소중립 역량강화 연수_환경교육게임 10개 하기_플라스틱아일랜드,아크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이스입니다.

 

저번 포스팅에 탄소중립 역량강화 연수에 대해 후기작성을 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

https://environment-youis.tistory.com/entry/환경교육사탄소중립-역량강화-연수-후기국가환경교육센터-사업빡세지만-유익한

 

[환경교육사]탄소중립 역량강화 연수 후기_국가환경교육센터 사업_(빡세지만 유익한)

안녕하세요 유이스 입니다~ 요즘 환경교육사 3급 따고, 국가환경교육센터에서 진행중인 인턴을 하며 방송통신대학 보건환경학에 재학하며 환경 독서토론 2개 하며... 등등 바쁜 삶에 치여 살고

environment-youis.tistory.com

 

 

오늘은 당시에 배웠던 교규/게임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 드릴까 합니다.

씽킹가든의 선생님들이 환경교육에 사용할 여러 교구를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1. 플라스틱 아일랜드 (기억력)

메모리 게임! 두장의 카드를 뒤집어 같은 그림이 나오면 자기가 자기고 가는 게임입니다.

그럼 어떻게 환경교육적 요소를 결합해서 메모리 게임이 진행되는지 한번 볼까요?

 

-플라스틱 아일랜드가 만들어진 배경-

하와이 섬 북동쪽으로 떨어진 섬과 일본과 하와이섬 사이에 있는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아시나요?

플라스틱 아일랜드는 바다에 떠있는 어마무시한 쓰레기들을

우리가 게임을 함으로 인해서 적절히 분리수거해 바다를 깨끗하게 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본 정보-

인원: 3~5명

연령: 10세 이상

시간: 20~30분 이내

-게임 방법-

토큰을 다음과 같이 배치합니다.

두장의 카드를 뒤집어서 같은 그림이 나오면 분리수거 할 수 있습니다. 

분리 수거 후, 카드에 써 있는 별의 개수의 토큰을 들고 올 수 있습니다.

토큰의 별 갯수가 가장 많은 사람이 이깁니다.

 

요즘 대구환경교육센터에서도 이 교구를 많이 대여해 가고 있습니다.

2. ARK: 멸종 위기종 (기억력)

-아크: 멸종위기종이 만들어진 배경-

지구온난화와 도시개발 등으로 인한 동식물들의 서식지 파괴등으로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동물들이 많습니다.

생명다양성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지구는 언젠가 순환이 잘 되지 않는 시스템으로 흘러 인간에게 까지 악영향을 미치게 되죠ㅠ

아크는, 보드게임을 하며 우리나라 멸종 위기종들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 되었습니다.

-기본 정보-

인원: 2~6명

연령: 초등학생 1학년 이상

시간: 25분~30분

-게임 방법-

1. 구성요소

동식물들이 생존하기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자연요소 입니다.

흙, 나무, 담수, 해수 의 자연요소가 있고 카메라, 로봇팔, 환경오염경보 카드도 있어요.

카메라: 뒤집어져있는 카드를 아무도 모르게 나만 살짝 볼 수 있어요

로봇팔: 아무 카드를 내가 들고 와서 언젠가 사용할 수 있어요

환경오염경보카드: 이 카드가 나오면 오염경보의 종류가 바뀝니다.

사라질 위기에 처한 멸종위기 종들이 있습니다.

총 42장이 들어있는데요, 동물의 이름과 간단한 설명 그리고 동물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자연요소가 그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반달가슴곰은 나무2개+토양1개+물1개가 필요합니다.

동물들이 산불/폐수/도시개발/농약 등의 한경오염으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환경오염을 피해 자연요소 타일을 구해야 되어요.

2. 진행방법

카드를 잘 섞어, 두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다른 친구들이 뒤집는 것을 기억 할 수 있게!

 

그 외에도, 3. 지구를 구하는 물건들 (수학력) 4. 컬렉션 5. 에코빌리지 6. 돌고래를 바다로 (협력) 7.폴드잇 8.카드라인 

9. 하트하트 10. 스트림스

등등 여러가지 게임을 했습니다.

이렇게 열심히 게임을 했더니... 집에 와서 몸살이 나고 코로나? 독감 증상이 나서

후유증이 길게가고 있는...

너무 열심히 게임 하는 것도 몸에 나쁘다는것을 깨달았지만

어떻게 게임을 이용해서 교육에 사용할 지 잘 알게 되었습니다. 

 

1박 2일 동안 환경교육의 교구 개발에 참여를 하였는데요.

본래 있던 게임 (전통게임이나 할리갈리, 메모리 게임) 을 잘 활용해서

규칙이 어렵지 않고 게임의 재미와 교육적 요소가 잘 베어난 교구가 뛰어난 교구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부디... 뛰어난 아이디어가 터져나왔으면 좋겠어요!

반응형